DefinitelyTyped에 타입 정의 기여하기
Programming/TypeScript2023. 3. 12. 19:24DefinitelyTyped에 타입 정의 기여하기

안녕하세요! RyuWoong 입니다.봄이 오기전 날씨가 변덕을 부리는지 폭풍우가 치는 일요일입니다.오늘은 제가 차곡을 만들면서 사용한 Chart 라이브러리의 Pie Chart는 선언된 타입과 다르게 동작하거나, 빠진 Property가 존재 했습니다. 계속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수정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Fork 하고 Clone 하기.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아래 링크 프로젝트를 Fork 하는 것 입니다. GitHub - DefinitelyTyped/DefinitelyTyped: The repository for high quality TypeScript type definitions.The repository for high quality TypeScript type definitions...

웹표준과 웹접근성 (Web Standards & Web Accessibility)
Programming/Web2023. 3. 11. 22:39웹표준과 웹접근성 (Web Standards & Web Accessibility)

안녕하세요. Ryuwoong입니다. 이번엔 알고 넘어가야하는 Web의 기본적인 내용들에 대해 다뤄보고자 합니다. 첫번째로 표준과 접근성입니다. 바로 이야기 해볼까요? 웹표준 Front-End 공고를 보면, 'Web 표준과 접근성에 대한 이해' 라는 항목을 보신적 있으신가요? 인터넷엔 수많은 페이지들이 존재합니다. 현재도 계속해서 만들어지고 있고 또 그것을 보기 위한 다양한 브라우저가 있습니다. 하지만 각자 마음대로 만든다면 어떻게 될까요? 사용자는 인터넷을 사용하기 매우 불편하겠죠. 특히 고령자나 장애인은 사용할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 또한 개발자도 어떻게 만들어야 좋은지, 옳은지에 대해 물음표가 따라 붙을겁니다. W3C는 이에 웹표준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웹표준은 웹사이트를 작성할 때 이용하는 HTML..

[Next] Data Fetching .02
Front-End/Next.js2023. 2. 28. 01:17[Next] Data Fetching .02

안녕하세요! RyuWoong 입니다. 이번 이야기는 Next에서 아~~주 중요한 Data Fetching에 관한 내용입니다. Next를 사용하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확인해보실까요? Data Fetching Next.js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컨텐츠를 렌더링 할 수 있습니다. 크게 Server-side Rendering, Static-site generation, Client-side rendering이 있습니다. 하나씩 살펴보며 어떤 방식을 어떤 때에 사용하는게 좋은지 알아봅시다. Server-side Rendering 우리가 Next.js를 사용하는 큰 이유중 하나인 Server-side Rendering입니다. 요청과 함께 데이터를 가져와야 하는 페이지를 렌더링 해야 하..

차곡 - 소비를 기록하는 가계부
Project/차곡2023. 2. 27. 03:09차곡 - 소비를 기록하는 가계부

가계부는 저축, 소비 등 다양한 돈의 흐름을 기록하는 곳이예요. 여러 흐름을 입력하는 만큼 입력해야 하는 양도 많고 피곤해지죠. 따라서 저희는 소비에만 관심을 뒀습니다. 소비는 내 수중의 돈이 빠져나가는 큰 흐름이죠. 이 흐름을 조절 하는 것이 내 수중의 돈을 관리하는데에 큰 도움이 될거라 생각해요! 차곡과 함께 나의 소비 습관을 파악하고 조절해보세요! 차곡 가계부는 저축, 소비 등 다양한 돈의 흐름을 기록하는 곳이예요. ryuwoong.notion.site App Store ‎차곡 - 소비를 기록하는 가계부 ‎복잡하고 번거로운 가계부, 많은 거래가 발생하면 그만큼 적어야 하는 내용이 많아 귀찮았죠? 이제는 소비만 기록하세요! 차곡이 소비만 기록하여 돈의 흐름을 알려줄게요. apps.apple.com G..

[React] Component 모듈화 .11
Front-End/React2023. 2. 26. 22:54[React] Component 모듈화 .11

안녕하세요. RyuWoong 입니다. 이번에 말씀 드릴 이야기는! Component 모듈화하기입니다. React App을 만들다보면, View와 Logic이 혼재되어 복잡해 보이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를 기존에 있던 디자인 패턴이나, Hook 등을 이용하여 관심사를 분리하고, 더 가독성 좋고,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 많은 프론트 개발자들이 이러한 고민은 다 거쳐가시는것 같네요. 한번 알아볼까요? 아래 이야기는 여러 내용을 찾아보고 나름대로 이해하여 적용한 것으로 틀린게 있을 수 있습니다. 부족한게 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발단. React던 React Native던 규모가 커지면 커질수록 하나의 컴포넌트가 점점 비대해지고 분리하자니 Props Drilling Depth가 깊어지는 등의 ..

image